한국은행 예상대로 기준금리 1.5% -> 1.75%로 0.25% 인상
2022년 5월 26일 시장의 예상대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4월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기준금리는 0.25% 인상했다.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1.75%로 인상되었으며 다음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일정인 7월에 기준금리 추가 인상도 유력해 보인다. (6월에는 기준금리 인상 회의가 열리지 않는다) 기준 금리 1.75%는 지난 2018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이며 만약 올해 안에 한 번만 더 금리가 인상돼서 기준금리가 2.0%가 되면 2014년 10월 이후 거의 8년여 만에 기준금리 2%의 시대를 여는 것이다. 나도 지난 5월 초 기준금리 관련 인상 글을 쓰면서 올해 연말 기준 금리를 최소 2.25% 수준으로 예상했었다. 나는 현재 내년까지는 유지될 금리인상 기조 속에서 자산의 일부를 꾸준히 정기 예금으로 넣고 있다. 5월 중순 이후 드디어 3%가 넘는 정기예금 상품이 나오고 있다.(저축은행 기준)
정기예금 금리 3.35% 상품 가입 시 이자는?
내가 5월에 가입한 정기예금 상품은 참 저축은행의 1년 정기예금 상품으로 금리는 세전 3.35%, 세후 2.83%이다. SB톡톡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가능하며 저축은행 중앙회에서 저축은행별 금리비교를 한눈에 할 수 있다. 5월 초와 비교했을때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최고 금리 수준이 0.3~0.4% p 상승한 것이다. 연내까지 4% 가까운 상품이 계속 출시되길 기대해본다.
저축은행중앙회
저축은행중앙회
www.fsb.or.kr
내가 가입한 금액은 3천만원으로 정기예금금리 3.35% 적용 시, 1년 세전 이자는 1,000,500원, 세후 이자는 85만 원으로 월 70,800원 꼴이다. 이것을 다시 하루로 계산하면 2,380원 정도 된다. 3천만 원을 예치 시 하루 왕복 교통비(서울 버스 기본요금 1,200원 기준) 정도는 무위험 수익으로 얻을 수 있다고 보면 되는 것이다.
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에 따라 한국은행의 하반기 금리인상 기조가 결정될 텐데 올해는 배당주 및 저축은행 정기예금 위주로 안전한 투자를 지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. 2022년과 같은 하락추세 횡보장에서 주식시장에서 큰 수익을 거두기는 어렵기 때문이다.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♥을 눌러주세요!
정기예금 금리 3%시대 초읽기, 5월 기준금리 인상될까?
정기예금 금리 4월보다 최고 0.15%p 상승, 6월 중 3% 정기예금 상품 출시될 듯 내가 예전에 쓴 정기예금 가입 포스팅에서 볼 수 있듯이 불과 3월말 4월 초만 해도 당시 최고 금리는 2.8%였다. (저축은
gandhihero.tistory.com
'투자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동차보험 조회 이벤트 참여하고 4만원 받기(하나머니) (0) | 2022.10.01 |
---|---|
삼성페이 이용 꿀팁: 삼성페이 결제로 연간 5만원 이상 버는 노하우 (1) | 2022.06.23 |
우리나라 외환보유고 규모 및 순위는?(2022년 4월 기준) (0) | 2022.05.23 |
캐롯 자동차보험(feat:신민아) 내돈내산 가입 후기 (0) | 2022.05.20 |
삼성전자(우) 배당금 지급 후기(2022년 1분기) (1) | 2022.05.17 |